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은 “비무장 민간인을 재판 없이 살해”한 전쟁범죄라는 사실, 희생자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이데올로기 때문이 아니라 가해자들이 갖고 있던 이데올로기 때문에 죽어갔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한국전쟁 전후 이승만의 좌익 척결은 실제 1950년 8월이면 모두 마친다고 볼 수 있다. 형무소사건과 국민보도연맹사건만으로도 30만 명 가까이 살해했다. 그럼에도 1950년 9월 국군의 서울 수복 후 다시 처단 대상 55만 명을 만들어냈다. 100만 명에 이르는 희생자들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 실상을 추적해 본다.[편집자]

한국전쟁 전후시기 학살당한 인사들 중에는 항일혁명가들도 많았다. 이들은 일제의 학살과 가혹한 고문, 그리고 감옥살이를 겪고 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는 이들을 다시 포고령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이라며 끌고 갔다. 학살을 피한 뒤 재판에 넘겨진 경우에는 형무소 재소자가 되었고 경찰서 단계에서 석방된 경우는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해야 했다. 이들은 전쟁이 벌어진 뒤 후퇴하는 국군과 경찰에 의해 체계적으로 학살당했으며 특히 형무소로 끌려간 인사들 중 살아남은 사례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보은지역 국민보도연맹 사건이 벌어질 때 항일운동가 박원근(朴源根, 1912년생)은 1950년 7월10일 후퇴하던 국군 6사단 헌병과 보은경찰서에 의해 100여 명의 지역 주민들과 함께 미륵뱅이 암소바위에서 학살되었다. 적운(赤雲)을 필명으로 썼던 그는 일제시기인 1934년 삼인회 사건, 1941년 신인구락부 사건과 관련되어 옥살이했다.

광주학생운동에 참가하다

▲ 서대문형무소는 삼인회 사건으로 연행된 박원근 선생을 1932년(소화 7년) 11월12일

촬영했다. 불과 스무 살의 나이였다.[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박원근은 1912년 보은면 교사리 405번지에서 박치호와 이영자 사이에 태어났다.

양쪽 집안 모두 대단했다고 한다. 박치호(朴治鎬, 1895~1970)는 항일운동가로서 해방 후 신진당 창립시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중도파로서 단독정부 수립에 절대 반대했다고 한다. 그의 사위였던 이기영 노인의 증언에 따르면, 육영수를 배출한 충북지역의 갑부 육씨 집안에서 혼사를 위해 매파를 보내왔는데 집안이 비교되지 않는다며 단번에 거절할 정도였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박치호의 항일활동은 언론자료 등에서도 일부 확인된다. 1924년 일본에서 대학교육을 마친 뒤 돌아 와 보은지방의 민족교육 발전을 위해 당시 10원을 야학설립에 기증했으며 집 일부를 야학 장소로 제공하기도 했다. <대동공론>의 주간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27년에는 보은청년회를 설립한 뒤 회관 건축비 마련을 위해 기금을 모았으나 일제는 도지사의 허가를 받지 않았다며 기부금품모집 위반으로 구류 10일의 즉결처분 탄압을 가했다. 정식 재판을 청구한 뒤 복심법원까지 상고하여 무죄판결을 받아냈다.(동아일보, 1927. 5. 28) 1931년에는 <무산자 강화(無産者 講話) 권1>을 출간한 것으로 보인다.(동아일보, 1931. 4. 29) 오늘날로 보면 ‘노동자 이야기’ 정도의 제목이 아닐까 싶다. 일제 사찰자료에는 1927년 5월16일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창립대회에 참석한 사실이 확인된다. 대회는 의제를 작성할 위원 7인 중 한 사람으로 박치호를 선출했다.

외가 쪽으로는 모친 이영자의 동생 이영근(1919년생)이 잘 알려진 인사이다. 그는 전쟁 전 조봉암의 비서로 활동하다 진보당 사건이 발생하자 일본으로 밀항했다. 일본에서 반이승만 활동을 하면서 <통일조선신문>을 창간했으며 조용수의 <민족일보>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형으로 생을 마감한 조봉암과 조용수가 간첩혐의를 받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 인물인데다 이후 친정부 활동으로 전환하여 의문의 인물로 주목 받기도 한다.

기사 전문 보기 http://www.minplus.or.kr/news/articleView.html?idxno=66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이봉린, 교활한 이승만 정권의 희생양 된 마을지도자(민플러스) 관리자 2016.08.24 2755
20 숙군의 발단, 하극상인가 부정에 대한 저항인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5.10 2794
19 오홍탁, 이승만 정권에 학살당한 해남 항일농민운동가(민플) 관리자 2016.07.27 2847
18 박세열, 단정 수립 직후 학살당한 임실 민주운동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7.04 2869
17 2015년 고양인권학교 발표문 file 금정굴재단 2015.06.20 2919
» 박원근, 해방후 친일경찰에 다시 끌려간 항일운동가(민플) 관리자 2016.07.27 2923
15 이현열, 형무소서 희생당한 민주혁명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21 2933
14 이하영, 노모 위해 피란 포기하다 결국 희생(민플러스) 관리자 2016.09.08 2961
13 어수갑, 금정굴에서 쓰러진 항일·통일운동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8.09 3011
12 전호극 소령, 김구 선생을 지지했던 해군통신학교 교장(민플러스) file 관리자 2016.05.23 3098
11 전재흥, 서천등기소 사건 관련자로 조작되어 희생(민플러스) 관리자 2016.09.20 3147
10 이상규 소령, 해병대 창설 제안한 함대사령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07 3222
9 한국전쟁 시기 국가폭력의 야만을 넘어 인권‧평화로(2013고양학술대회) file 관리자 2013.09.23 3233
8 6.25, 전쟁의 시작인가, 학살의 시작인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29 3322
7 금정굴에서 만나는 평화 발표문 file 금정굴재단 2014.02.14 3328
6 진실, 국가범죄를 말하다 file 관리자 2014.08.01 3330
5 진상규명 현황과 사회적 과제(2013년 7월 22일 국회토론회) file 관리자 2013.10.10 3407
4 한국전쟁 전후사 연구에 있어 구술과 국가기록물의 상호보완성 고찰(2012년 구술기록학회) file 관리자 2013.10.24 3462
3 민간인학살의 참상과 해결과제 file 관리자 2013.10.10 3792
2 규장각 콜로키움 발표자료입니다 file 관리자 2016.10.22 3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