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은 “비무장 민간인을 재판 없이 살해”한 전쟁범죄라는 사실, 희생자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이데올로기 때문이 아니라 가해자들이 갖고 있던 이데올로기 때문에 죽어갔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한국전쟁 전후 이승만의 좌익 척결은 실제 1950년 8월이면 모두 마친다고 볼 수 있다. 형무소사건과 국민보도연맹사건만으로도 30만 명 가까이 살해했다. 그럼에도 1950년 9월 국군의 서울 수복 후 다시 처단 대상 55만 명을 만들어냈다. 100만 명에 이르는 희생자들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 실상을 추적해 본다.[편집자]
        
▲ 1940년대 사진으로 추정되는 오홍탁 선생의 모습이다.

오홍탁(1913년생)은 일제하 소작쟁의 등 농민들의 생존권 확보를 위한 투쟁에 적극 참여하다 1934년 ‘전남운동협의회 사건’으로 일제에 의해 체포되어 3년 가까이 감옥살이를 당했다. 그는 체포 직전 일제 경찰에 들어가 강진경찰서에서 근무하던 중이었으므로 현역 경찰이 포함된 항일운동조직이었다며 당시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기도 했다. 전쟁 전까지 전국의 형무소를 전전했으며, 풀려난 뒤 집에 있던 중 한국전쟁이 나자 후퇴하던 경찰에 의해 예비검속 당해 1950년 7월16일 진도 갈매기섬에서 학살당했다.

해남 산이면 중농의 집안에서 태어나다

오홍탁은 1913년 8월29일 해남군 산이면 상공리에서 태어났다. 30마지기의 논을 갖고 있던 중농의 집안이었다. 1927년 해남군 마산공립보통학교 4년을 수료했다. 이후 사립 강습소에 다녔으며 1929년 4월 해남공립농업실습학교에 입학하고 1931년 졸업했다. 아들 오 씨는 이때에도 오홍탁이 독서회를 조직했는데 공개된 활동이어선지 일경의 감시 대상 명부에 올라와 있었다고 한다.

1934년 9월10일자 동아일보에는 <주모자 김홍배와 순사 오홍탁의 활동>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오홍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생활문제로 방향전환, 순사생활 2개월

해남군 산이면 상공리 가난한 농가에 태어나서 18세 되던 해에 그곳 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나 원체 집이 가난한 까닭으로 자신이 노동하면서 밤이면 중학강의록이며 기타 서적으로 꾸준히 독서하여 나왔으므로 그의 지식 정도는 외지에 유학하고 있는 연배 동모들에 비하여 못지 아니하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그는 몇몇 동모들과 같이 노동야학을 설립하여 수 년 동안에 수백 명의 아동을 꾸준히 교양하여 오던 중 전남운동협의회에 가담하여 맹렬히 활동하였으나 생활난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동시에 소화 8년8월에는 순사시험을 치렀던 바 합격되었으므로 5개월 간의 교습을 마치고 12월에 강진경찰서에 근무하는 순사가 되었다. 소화 9년 2월 중순에 그 전에 관계하였던 좌경운동이 발각되어 검거되는 동시에 순사는 해직되었다고 한다.

위 기사는 순사로 지원한 이유를 생활난 때문이라고 보도하고 있는데, 아들 오씨는 실제 중농의 집안이었으므로 기사가 사실과 다르며 이는 희생자를 폄훼하기 위해 일본 경찰이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언론에 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찰이 되려 했던 실질적인 이유는 전남운동협의회 지도부에서 각 지역의 정보를 빨리 얻기 위해 경찰만큼 유리한 직업이 없었으므로 위장취업시켰다는 것이었다.

소작쟁의를 지도하다

1931년 해남공립농업실습학교를 졸업한 뒤 농업에 종사하면서 강습소에 다니게 되었다. 여기에서 교사 박채민의 지도로 여러 권의 좌익 문헌을 읽었으며, 김용섭과 천덕운 등의 교양을 지도하는 독서회를 조직하면서 농촌계몽활동과 소작쟁의에 지도적으로 참여했다.

1932년 11월 상공리 산기슭에서 오임탁, 박한배를 만나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갱생계를 조직하였고 사회주의사상 보급과 동지 양성을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 이는 전남운동협의회 활동의 하나였다.

1933년 4월 상공리에 있는 한 암자에서 오임탁, 오양탁 등 여러 사람과 만나 사회과학 연구모임을 조직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www.minplus.or.kr/news/articleView.html?idxno=76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2013년 제5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문 file 관리자 2013.11.04 4029
20 규장각 콜로키움 발표자료입니다 file 관리자 2016.10.22 3935
19 민간인학살의 참상과 해결과제 file 관리자 2013.10.10 3792
18 한국전쟁 전후사 연구에 있어 구술과 국가기록물의 상호보완성 고찰(2012년 구술기록학회) file 관리자 2013.10.24 3462
17 진상규명 현황과 사회적 과제(2013년 7월 22일 국회토론회) file 관리자 2013.10.10 3407
16 진실, 국가범죄를 말하다 file 관리자 2014.08.01 3331
15 금정굴에서 만나는 평화 발표문 file 금정굴재단 2014.02.14 3328
14 6.25, 전쟁의 시작인가, 학살의 시작인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29 3322
13 한국전쟁 시기 국가폭력의 야만을 넘어 인권‧평화로(2013고양학술대회) file 관리자 2013.09.23 3234
12 이상규 소령, 해병대 창설 제안한 함대사령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07 3223
11 전재흥, 서천등기소 사건 관련자로 조작되어 희생(민플러스) 관리자 2016.09.20 3148
10 전호극 소령, 김구 선생을 지지했던 해군통신학교 교장(민플러스) file 관리자 2016.05.23 3098
9 어수갑, 금정굴에서 쓰러진 항일·통일운동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8.09 3012
8 이하영, 노모 위해 피란 포기하다 결국 희생(민플러스) 관리자 2016.09.08 2962
7 이현열, 형무소서 희생당한 민주혁명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6.21 2934
6 박원근, 해방후 친일경찰에 다시 끌려간 항일운동가(민플) 관리자 2016.07.27 2923
5 2015년 고양인권학교 발표문 file 금정굴재단 2015.06.20 2919
4 박세열, 단정 수립 직후 학살당한 임실 민주운동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7.04 2870
» 오홍탁, 이승만 정권에 학살당한 해남 항일농민운동가(민플) 관리자 2016.07.27 2848
2 숙군의 발단, 하극상인가 부정에 대한 저항인가(민플러스) 관리자 2016.05.10 2794